[CS]/[컴퓨터네트워크]

링크계층 - 스위치

broship 2021. 7. 1. 08:43

※kocw에서 제공하는 이석복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수업을 듣고 필기한 내용입니다.

출처를 따로 밝히지 않는 한 전부 해당 수업에서 제공한 자료들이며 제가 작성한 부분에 있어 틀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.


 

 

Switch


- 과거 bus형일때는 매체에 새로운 컴퓨터가 추가됬을경우 직접 선을 구축해야했음, switch를 사용한 star 형일경우 포트에 선만 꽃으면됨

- bus형은 하나의 collision domain으로 구성, star 형은 collision domain을 분리시켜줘서 각각의 컴퓨터를 구분시켜놔 충돌이 발생하지 않게끔함

- switch는 연결만 도와주는 기기, 컴퓨터는 switch의 존재를 신경쓰지 않아도됨

- 동시에 A -> A`, B -> B` 할때 충돌이 안남

- 동시에 A -> A`, B -> A` 할때 스위치가 교통정리 해줌

- 스위치 안에도 스위치 테이블이라는 것이 존재해서 연결된 인터페이스들의 mac 주소를 담고있음

- 스위치 테이블의 컬럼은 연결된 포트, mac 주소, TTL

 

- 스위치 테이블은 self-learning 방식으로 만들어짐

- A로부터 요청이 오면 그때 A의 포트와 mac 주소를 적어놈

- 요청이 올때 목적이 mac 주소의 포트를 알고 있으면 해당 포트로 보내고 모르면 브로드케스트로 보냄

- 목적지에 맞는 인터페이스만 받고 다른 인터페이스는 다 버림

- 스위치 테이블에 없던 정보면 해당 정보를 저장

 

- 스위치는 여러개를 연결시킬 수 있음, 사람이 많아질 경우 그만큼 스위치를 많이 연결시키면됨

 

- 스위치와 라우터(공유기)의 차이

- 스위치는 단순히 교통정리 역할만함, 네트워크계층에서는 전혀 고려되지 않음

- 그에비해 라우터는 (원래는 네트워크 계층까지만 있지만) 최근에는 어플리케이션 계층까지 있는 하나의 컴퓨터임

- 들어오는 공인 ip를 여러 사설 ip로 바꿔주는 NAT이 동작

- ip주소를 알려주는 DHCP가 동작

- 도메인과 ip주소를 상호변환해주는 NAME 서버가 동작

- 공유기는 하나의 서브넷을 관리